1TB 하드 디스크 네 개와 4TB 하드 디스크 한 개를 비교해보자. 1TB 하드 디스크 네 개로 RAID를 구성하면, 4TB 하드 디스크 한 개의 성능과 안전성을 능가할 수 있다.
그렇다면 RAID가 무엇이며,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지 알아보자.
RAID의 정의
▶ RAID(Reb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)
: 데이터의 안전성 혹은 성능을 위해, 여러 개의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
RAID의 종류
RAID 0
: 여러 개의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단순히 나누어 저장하는 구성 방식
- 하나의 대용량 저장 장치를 이용했더라면 여러 번에 걸쳐 읽고 썼을 데이터를 동시에 읽고 쓸 수 있다.
--> 4TB 저장 장치 한 개를 읽고 쓰는 속도보다 RAID 0으로 구성된 1TB 저장 장치 네 개의 속도가 이론상 네 배가량 빠르다.
RAID 1
: 복사본을 만드는 방식
- 미러링(mirroring): 마치 거울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드는 구성
RAID 4
: RAID 1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드는 대신,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볼르 저장한 장치를 두는 구성 방식
- 패리티 비트(parity bit):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보
- RAID 4에서는 어떤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때마다 패리티 비트를 저장하는 디스크에도 데이터를 쓰게 되므로, 패리티를 저장하는 장치에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.
RAID 5
: 패리티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
- RAID 4의 문제인 병목 현상을 해소한다.
RAID 6
: 구성은 기본적으로 RAID 5와 같으나, 서로 다른 두 개의 패리티를 두는 방식
- 패리티가 두 개 이므로,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할 수 있는 수단이 두 개가 생긴 것이다. 따라서 RAID 4나 RAID 5보다 안전한 구성이다.
'Computer Architecture > 컴퓨터구조[01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구조] 1206 (1) (0) | 2023.12.06 |
---|---|
[컴퓨터구조] 1204 (0) | 2023.12.04 |
[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] 08-2. 다양한 입출력 방법 (1) | 2023.12.04 |
[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] 08-1.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 (1) | 2023.12.04 |
[컴퓨터구조] 1129 (2) (0) | 2023.1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