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94 [네트워크] 4.4 일반화된 포워딩 및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(SDN) 우리는 지금까지 전통적인 목적지 기반 forwarding에 대해 이야기했다. 이제부터 SDN에 대해 배워보자. SDN은 remote central controller를 가지고, router는 이 remote central controller에게 자신이 가진 정보를 전달한다. 따라서 이러한 remote controller가 모든 router의 목적지 이동 방법을 다 계산해서 router에게 알려준다. Forwarding: Traditional vs. SDN ▶ 전통적인 forwarding : Forwarding table을 기반으로, 목적지 기반 forwarding을 한다. 즉, IP 주소의 목적지 주소로 forwarding만 하는 것이다. 그리고 이때, 중간 router에서 어느 방향으로 향할 지는 각각.. 2023. 11. 26. [네트워크] 4.3 인터넷 프로토콜(IP): IPv4, 주소체계, NAT, IPv6 등 Network Layer: InternetApplication layerTransport layerNetwork layerLink layerPhysical layerNetwork layer에서는 여러 프로토콜이 동시에 동작한다. ▶ Path-selection algorithm : forwarding table을 만드는 프로토콜Routing protocols (OSPF, BGP): + routing algorithm --> routing table --> forwarding table (전통적인 방법)SDN controller: control server - router CA --> forwarding table ▶ IP protocol : Data와 관련된 프로토콜 ▶ ICMP protocol : Rou.. 2023. 11. 26. [네트워크] 4.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? Router 네트워크 계층에서 host와 router가 있다. 그 중 router에 대해 알아보자. ▶ Control plane: control message를 routing한다. (end-end-path through network) ▶ Data plane: user message를 forwarding한다. (local forwarding)' Cf) Host는 router와 달리, control plane을 필요로하지 않는다. : host --> gateway router로 바로 연결되기 때문이다. Control plane에서: routing protocol --> routing algorithm --> routing table Data plane에서: forwarding table --> input .. 2023. 11. 25. [네트워크] 4.1 네트워크 계층 개요 Overview of Network Layer ▶ 송신 측 host: transport 계층 --> network 계층 : transport 계층의 세그먼트를 network 계층의 데이터그램으로 encapsulate해서 link 계층으로 내려보낸다. ▶ Routers : 모든 데이터그램의 헤더를 검사하여, forwarding한다. Forwarding: Input port --> Output port ▶ 수신 측 host: network 계층 --> transport 계층 : 받은 데이터그램에서 헤더를 떼고 남은 세그먼트를 transport 계층으로 올려보낸다. 4.1.1 Forwarding & Routing: Data plane & Control plane Two Key Network Layer Func.. 2023. 11. 25. [자료구조] 1110 깊이 우선 탐색 (DFS) - example ▶ 깊이 우선 탐색 (DFS) : 숫자가 작은 것부터 시작해서, 간선이 있는 숫자들로 내려간다. 그래프 표현 방법 인접 행렬 (adjacent matrix) 방법 인접 리스트 (adjacent list) 방법 출처: 이화여자대학교 이숙영교수님 자료구조 2023. 11. 11. [자료구조] 1107 단순 경로(simple path), 사이클(cycle), 단순 사이클(simple cycle) 단순 경로(simple path): 반복되는 정점이 없는 경로 사이클(cycle): 시작 정점과 종료 정점이 같은 경로 단순 사이클(simple cycle): 시작 정점과 종료 정점이 같고, 반복되는 정점이 없는 경로 (사이클, 단순 경로) 연결 그래프(connected graph), bridge 그래프 탐색 : 하나의 정점(source node)로부터 시작하여, 차례대로, 모든 정점들을 한 번씩 방문한다. (target node를 찾을 때까지)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깊이 우선 탐색 (DFS: Depth-First Search) 너비 우선 탐색 (BFS: Breadth-First Search) 깊이 우선 탐색 .. 2023. 11. 10. [자료구조] 1103 - 10. 그래프 (1) 10.1 그래프란? 그래프의 소개 그래프: 객체 사이의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 구조 그래프의 역사 Konigsberg의 다리 문제 (오일러 문제): 임의의 지역에서 출발하여 모든 다리를 단 한번만 건너서 처음 출발했던 지역으로 돌아올 수 있는가? - 'A, B, C, D의 위치가 어떠한 관계로 연결되었는가?' - 지역 = 정점(vertex) - 다리 = 간선(edge) 오일러 경로: 그래프에 존재하는 모든 간선(edge)를 한번만 통과하면서 처음 정점(node)로 되돌아오는 경로 오일러 정리: 모든 정점(node)에 연결된 간선(edge)의 개수가 짝수일 때만 오일러 경로가 존재한다.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는 것들 : 도로, 미로, 선수과목 10.2 그래프의 정의와 용어 그래프의 정의 ▶ G .. 2023. 11. 4. [네트워크] 3.4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의 원리 3.4.1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구축 ▶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(reliable data transfer protocol): 서비스 추상화를 구현하는 것 단방향 데이터 전송(unidirectional data transfer) 양방향(전이중) 데이터 전송(bidirectional data transfer) 3.4.2 파이프라이닝된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완벽하게 신뢰적인 채널상에서의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: rdt1.0 송신 측: 상위로부터의 호출을 기다림 수신 측: 하위로부터의 호출을 기다림 이러한 간단한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 단위와 패킷의 차이점이 없다. 모든 패킷의 흐름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까지다. 즉, 완전히 신뢰적인 채널에서는 오류가 생길 수 없으므로 수신 측이 송신 측에.. 2023. 10. 13. [네트워크] 3.3 비연결형 트랜스포트: UDP ▶ 인터넷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 : UDP, TCP 트랜스포트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(다중화; multiplexing)과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레벨 프로세스(역다중화; demultiplexing) 간에 데이터를 넘겨주기 위해 다중화와 역다중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. UDP는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 할 수 있는 최소 기능으로 동작한다. UDP는 다중화/역다중화 기능과 간단한 오류 검사 기능을 제외하면 IP에 아무것도 추가하지 않는다. UDP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가져와서, 다중화/역다중화 서비스에 대한 출발지 포트 번호 필드와 목적지 포트 번호 필드를 첨부하고, 다른 두 필드룰 추가한 후에, 최종 세그먼트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넘겨준다. 네트워크 계층은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를 IP.. 2023. 10. 12. 이전 1 2 3 4 5 6 ··· 11 다음